4/3일 목요일 : 슈퍼 T 데이 #Trump #Tesla #Tariff 🔥트럼프 "모든 국가 대상 최소 10% 관세 부과" | 테슬라, DOGE 탈퇴? 트럼프 입 열자 급락이네요 by 한국경제TV 당잠사 주식 뉴스 읽어주는 여자
1. 헤드라인
1)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관세발 불확실성 해소 기대 : 유럽증시는 하락
2) 트럼프 상호관세발표, 국제금값 신고가 경신 : Liberation Day - 미국의 만성 무역적자 구조에서 벗어나는 날 & 미국산업이 다시 태어난날로 기억될것 (일자리 공장 돌아올것), 상호관세에 반대하는 기업은 미국에 공장을 짓지 말라, 외국지도자들에게 관세부과중단 촉구
3) 테슬라 1분기 차량 인도량 33만 7천대로 전년비 13%하락
4) 머스크, DOGE 곧 떠난다. 테슬라 폴리티코 보도에 급등 : 사임보도 가짜뉴스
5) 3월 ADP 민간고용 전월비 15만5천명 증가, 시장 예상치 큰폭 상회
6) 중국 기술 기업, 1분기 엔비디아 AI칩 23조원어치 구매
7) 아마존, 틱톡인수위해 막바지 입찰, 이르면 오늘 처리방안논의
8) 닌텐도 스위치2, 6월5일출시, 가격 450달러
2. 트럼프관세 백악관 브리핑
1) 3일 0시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 한국 자동차 81%가 한국에서 제조
2) 미국 5일 0시부터 기본관세 10%
3) 맥주캔에 25% 관세부과, 알루미늄관세 후속 조취
4) 관세를 국가부채에 사용 (관세->경기침체우려->주식팔고채권매수->국채금리내려감)
5) 베트남 46%, 한국 25%, 일본 24%, 브라질 10% 관세 : 국가별 9일부터 부과, 자국통화가치 조절해서 경쟁력 유지 예상
6) 캐나다와 멕시코는 상호관세 당분간 안해
3. 지수
1) 다우존스 $42225.32 (+0.56%), 나스닥 $17601.05 (+0.87%), S&P500 $5670.97 (+0.67$)
2) 원달러 $1462.50 (-0.61%) : 중국 유럽 보복우려로 달러약세, 골드만은 미국 경기침체에서 엔화가 헤지수단이라고,, 금 $3176.31 (+0.96%), 은 $34.98 (+1.94%) : 스탠다드차트, 금선물또한 관세 범위 주시해야
3) WTI $72.15 (+1.33%) : UBS, 관세로인한 원유수요감소로 국제유가상승 전망, 10년물국채금리 4.22% (+1.59%) : 골드만, 올해말까지 4%로 내려갈것
4. 종목
1) TSLA $282.76 (+5.33%) 1분기 인도량 33만6천여대로 2022년2분기 이후 최저 : 13%감소, 모델Y 설비 업그레이드로 생산 일시 중단
백악관 대변인, 머스크 정부효율부서 역할 다한다면 물러날것
트럼프 자동차관세 25%에 시간외 테슬러 -5%, GM -3% 하락
2) AMZN $196.01 (+2.0%)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 제안서 제출 : 전체인수의사포함
3) 트럼프 관세 피해 섹터 VS 수혜 섹터
4) SCHW 할스슈왑 (+1.18%) 시티 보유에서 매수로, 목표가 85에서 102달러로 상향 : TD아메리트레이드 통합 완료, 자산이전과 마케팅 지침 조정으로 성장기대 & 연 5~7% 자산성장 달성가능성 큼
5) BB 블랙베리 (-9.12%) 2026 회계연도 매출 전망치 5.04~5.34억달러 (기대치 5.67억달러) : 보안 커뮤니케이션 부문 매출 감소 전망, YOU -7%
6) NCO 엔씨노 : 실적 부진에 연간 전망도 하향 조정
7) WOOF 펫코 헬쓰 앤 웰니스 컴퍼니 : CEO, 자사주 160만주 매입 단행
8) DJT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 : 내부자 포함 대규모 주식 매각 가능성 공지
9) SMG 스코츠 미러클 그로 : 트루이스트, 소비 트렌드 변화 반영해 투자의견 '매수'로 상향
10) GEV GE버노바 : 서스케하나, 긍정적 평가와함께 목표가 370달러 제시
11) RIVN 리비안 : 1분기 차량 인도 36%감소, 전년대비 급감
5. ETF
1) SPY 시간외 2%하락
2) 국채 ETF : 높은 인플레 지속 지출 축소를 실패하며 국채 금리 상승, 재정적자 확대시 10년물 국채금리 5% 도달 가능
베센트, 10년물 국채 발행량을 축소해서 10년물 국채금리 낮출 계획
로이터, 미정부 이르면 7월 디폴트
레이 달리오, 미 재정적자 경고